임란전적비 내 지도 이미지

임란전적비 내 17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번호
4,035
구분
공중화장실
화장실명
임란전적비 내
소재지도로명주소
경상북도 봉화군 소천면 현동길 39-27
소재지지번주소
경상북도 봉화군 소천면 현동리 848
남성용-대변기수
2
남성용-소변기수
3
남성용-장애인용대변기수
0
남성용-장애인용소변기수
0
남성용-어린이용대변기수
0
남성용-어린이용소변기수
0
여성용-대변기수
3
여성용-장애인용대변기수
1
여성용-어린이용대변기수
0
관리기관명
주민복지실
전화번호
054-679-6072
개방시간상세
24
설치연월
2011-03
WGS84위도
37
WGS84경도
129
화장실소유구분
공공기관-지방자치단체
오물처리방식
수세식
비상벨설치여부
아니오
비상벨설치장소
없음
화장실입구CCTV설치유무
아니오
기저귀교환대유무
아니오
기저귀교환대장소
없음
데이터기준일자
2020-04-30

블로그 리뷰

  • 임란전적비 내 | 임란북천전적지 - 전투준비, 인력, 무기 등 모든 부분에서 부족했던 처절했던 전투

    전적지 내에서 관리되고 있다. ​ Previous image Next image ​ Previous image Next image 망궐례 모형, 왕에 대한 충성과 유교적 질서를 상징하는 의례. 망궐례...당시의 군수 심환지가 현재의 이름인 침천정으로 바꿨다. ​ 임란북천전적비 임란북천전적비 임란북천전은 임진왜란 당시 경상북도 상주시 북천 일대에서...

    화려한 비상(飛上)(2025-05-12 07:30:00)

  • 임란전적비 내 | 창녕 영산 만년교, 영산지구전적비, 연지

    조선 후기 남부지방의 홍예교(虹霓橋) 구축기술을 보인다고 하여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는 무지개형 다리인 보물 제564호인 만년교(萬年橋)가 있고, 그 다리를...1운동 봉화대 및 기념비가 있으며 계단을 올라가면 6·25전쟁 영산지구 전적비가 있습니다. 만년교입니다. 이 다리는 이곳 남천을 가로질러 가설한 나무다리...

    하늘타리정원(2012-09-09 13:35:00)

  • 임란전적비 내 | 2018 서민동 민통선 평화 버스 후기 - 영화 박치기의 한많은 임진강

    히데요시가 임란때 처음 한반도 분할을 요구한 이래 1945년 8월 10일 자정 무렵 미군에 의해 30분 작업으로 38도선이 그어지고 남북분단이후 한국전쟁이 발발...이어지는 일번 국도로 이동하면서 분단의 상징인 임진강을 보았다. 버스에서 이동하는 동안 안내를 맡았던 연민동 평화운동가인 유영호 동지는 이동중 버스내...

    열린시민뉴스-정의연대 김상민(號한두루)의 블로그(2018-09-12 14:04:00)

  • 임란전적비 내 | 창녕 영산 남산 호국공원의 만년교 주변 역사 탐방

    지구 전적비, 호국충혼탑 등은 다음 기회에 돌아보리고 하겠습니다. 영산만년교 위치 :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등리 창녕영산만년교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전에 본 만년교 보물 제564호 영산만년교는 영산면 사무소 남쪽의 호국공원 내에 있는 길이 13.5m, 너비 3m의 무지개다리이다. 개울 양쪽의 자연암반을...

    창녕군 공식 블로그 - 안녕! 자연의 창녕(2023-02-20 15:00:00)

  • 임란전적비 내 | 금성산성(산성산)의 멋진 성벽과 강천사계곡의 마지막 단풍

    산행후기 매년 그랬듯이 이번 역시 예외는 아니었다. 일년 중 차가 가장 막힌 날이었다. 수능시험(11월 12일)을 마친 일요일이었던 것이다. 「혹시나?…」 하는 마음이었지만 우려는 현실로 다가왔던 것이다. 심한 정체로 대부분의 회원님들은 자정을 넘겨 귀가했을 것 같다. 이동거리가 멀어 상일동에서 7시 30...

    조인기의 산과 여행이야기(2009-11-18 16:42:14)

  • 임란전적비 내 | 대마도 한국 땅 (이승만 대통령 선언)

    대마도는 내 줄 수 있어도 우장춘은 내줄수 없다’며 귀국을 만류했다는 일본 정부였다. 대마도 최북단 와니우라 해안의 한국전망대에 오르면 부산이 보인다...땅을 무력 강점했지만 결사 항전한 (대마도) 의병들이 이를 격퇴했고 의병 전적비(戰蹟碑)가 대마도 도처에 있다. 1870년대에 대마도를 불법적으로 삼킨 일본...

    안산김씨(2011-01-08 07:47:19)

  • 임란전적비 내 | 平昌의 鎭山, 魯山과 魯山城에 대하여 (1부)

    큼지막한 임란전적비를 세웠다. 아래 휜선내는 노산이 카르스트 지형으로 먼 옛날 빗물에 녹아 침식된 부분으로 이곳은 카르스트의 습지였으나 복개후 활터장이 되었다 노산성은 감입곡류 하천이 휘어감는 노산의 정상부 아래에(해발 419m)에 쌓았는데, 삼면이 강으로 둘러싸여 있을 뿐만 아니라 북쪽은 가파를 절벽으로...

    후세백작의 지평(2019-10-20 12:07:00)

  • 임란전적비 내 | 평창의 국행성황인 "노산의 성황사 (魯山 城隍祠)

    이러한 전적비는 그 내용을 달리 역사를 소명하여 기록하여야 하는 것이다. 조선시대에 각 군 소재지에 군사는 대략 34명으로 정하는데, 이러한 군사들은 모두 군, 관민의 보호를 위해 함께 응암굴에 갔던 것이다. 한 해 오백 명을 선출하는 무과시험에 300등으로 합격한 지사함 장군(장군의 호칭은 지방 군수가 명명)등...

    후세백작의 지평(2018-03-03 04:48:11)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