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전교 지도 이미지

용전교 24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번호
15,041
구분
공중화장실
화장실명
용전교
소재지도로명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쌍치면 용전리
소재지지번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쌍치면 용전리 676-7
남성용-대변기수
1
남성용-소변기수
1
남성용-장애인용대변기수
0
남성용-장애인용소변기수
0
남성용-어린이용대변기수
0
남성용-어린이용소변기수
0
여성용-대변기수
1
여성용-장애인용대변기수
0
여성용-어린이용대변기수
0
관리기관명
순창군청(환경수도과)
개방시간상세
24시간
WGS84위도
36
WGS84경도
127
화장실소유구분
공공기관-지방자치단체
오물처리방식
수세식
비상벨설치여부
아니오
비상벨설치장소
없음
화장실입구CCTV설치유무
아니오
기저귀교환대유무
아니오
기저귀교환대장소
없음
데이터기준일자
2020-09-09

블로그 리뷰

  • 용전교 | [11년 전 오늘] 주왕산 갓바위산 ~ 가메봉 : 영덕 용전교 ~ 용전저수지 ~ 용암사 ~ 시루봉~ 갓바위산...

    2013.5.5. 11년 전 오늘 주왕산 갓바위산 ~ 가메봉 : 영덕 용전교 ~ 용전저수지 ~ 용암사 ~ 시루봉~ 갓바위산~ 왕거암~ 가메봉 ~ 청송 대전사 주왕산국립공원 끝자락의 갓바위산과 낙동정맥 답사 후기 들머리는 경북 영덕군 달산면 용전리에서 하차 용암사 방면으로 이동 용전저수지 (가빠골 저수지)를 지나서 갓바우골...

    소소한 일상(2024-05-06 00:13:00)

  • 용전교 | 다시금 복수초를 찾아서, 용전교-정각산-끝방재-임도-송백리...

    맑음 3. 인원: 3명 4. 대상: 정각산 / 경남 밀양시 산내면 소재 5. 코스: 용전교-정각산-송포마을 (도상 9㎞ / 9시간 25분) 용전교( 08:35)-밤나무밭( 08:45...16:55/휴식)-임도-임도벗어남( 17:30)-지능선-송포마을( 18:00) 6. 후기 ​ 오늘은 영남알프스 언저리에 위치한 정각산을 찾았다. 복수초를 보는 것이 목적이다...

    필산의 山中四季(2011-04-10 12:19:00)

  • 용전교 | 승학산 /경남 밀양

    한다. 14:18 밀양시외버스터미널 도착 15:00 부산행 버스 탑승(버스료 4,000원) 16:07 부산 서부(사상)시외버스터미널 도착 □ 산행후기 이번 코스는 단순하면서도 짧다. 용전교 정면에 보이는 산자락의 바로 우측 산줄기를 타고 718봉으로 오른 후 627봉과 승학산을 이어서 용회마을로 내려서는 것이다. 둘이서 얘기도...

    늘바람(2009-12-22 20:06:00)

  • 용전교 | 영남알프스<303>3대 오지마을(1)

    33분> ▲ 용전교를 건너고.. ▲ 다리 건너서 우측 동천길을 따라 간다. ▲ 동천을 가로지르는 보를 지나고.. 보를 지나서는 밤나무밭 사이의 산길을 따라 올라야 한다. 그리고 가족묘 좌측의 밤나무 사이의 산길을 따라 올라 계곡을 건너서 오른다. 이후 아래와 같은 가족묘가 나온다. ▲ 가족묘를 뒤로 산길이 열린다...

    木魚의 노래(2019-09-07 17:49:00)

  • 용전교 | 운곡습지. 그곳은 30년 간 비밀정원이었다./고창 1박2일 여행

    경계인 용전교 옆 영산강 상류인 담양습지로 국내 유일의 하천습지라는 것도 알게 되었다. 그렇다면 습지는 무엇일까? 습지(濕地)는 년 중 일정기간 이상 물에 잠겨 있거나 젖어 있는 지역으로 담수, 기수 또는 염수가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그 표면을 덮고 있으며, 건조시에 수심의 6미터를 넘지 않는 해역을 포함...

    simpro 해피트래블(2013-12-17 07:05:00)

  • 용전교 | 2017년 10월 27일 오후 2시 43분에 저장한 글입니다.

    종점 용전교다리 : 아래는 동창 강물이 흐른다 다리 서쪽의 용전버스정류장에 가면 콜택시번호가 많이 나붙어 있으므로 콜택시를 부르거나, 석남사나 얼음골에서 오는 시내버스를 타고 박산마을까지 가야함. 박산마을에서 동쪽의 보라마을 앞을 거쳐 남쪽의 등산시작점에 가서 승용차에 가야함. □ 역사유적지 · 명승지...

    gajisan99님의블로그(2017-10-27 14:39:00)

  • 용전교 | 산내면(山內面) 지명유래(1) - 경남 밀양시 산내면

    조선조 후기이래 수원백씨(水原白氏)가 터를 잡아 살아 왔으며, 백성기(白成基)가 지은 왜모재(慕齋)가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졌다. 근대에 일직손씨(一直孫氏) 일문이 다죽리(茶竹里)에서 이거하여 살고 있는데, 1943년에 그 후손들이 취운재(醉雲齋) 손건영(孫建永)과 그 아들 삼형제를 추모하기 위한 삼우당(三友堂)을...

    잠실 엘스 리센츠 트리지움 아파트 / 에덴부동산(2019-08-29 20:35: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